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야구에서 지명타자란 무엇이며 왜있을까?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 11:3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야구에서 지명타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야구에서 지명타자란?

    □ 지명타자 도입 이유

    □ 지명타자 도입 시기

    □ 지명타자 장단점

     

    □ 야구에서 지명타자란?

    야구에서 지명타자는 수비를 하지 않고 투수의 타석에 대신 들어가는 타자를 말합니다.

     

    □ 지명타자 도입 이유

    투수가 아닌 타석만 치는 선수를 가리키는 지명타자의 도입은 그렇게 길지 않습니다.

    야구 초창기에는 투수를 포함 9명의 선수가 타석에 서는 것이 원칙이었습니다.

    그러나 야구가 점차 발전하면서 투수의 중요도가 점점 높아졌습니다.

    결국 많은 구단과 감독들은 야구가 투수 중요도가 높은 스포츠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투수들의 효과적인 피칭을 위해 타격 연습보다 투구 연습에 집중하게 됩니다.

    분위기가 이렇게 흘러가면서 투구 연습에 집중한 투수가 타석에 진입하는 것은 부상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공격적으로 치기보다는 수동적으로 타격에 임했습니다.

     

    □ 지명타자 도입 시기

    1960년대 말, 메이저리그는 잔혹한 시대를 겪고 있습니다.

    타격전보다는 지루한 투수전의 형태로 경기가 치러지는 경기가 늘어났습니다.

    이를 타개할 방법을 모색하다가 나온 대안이

    1973년 아메리칸리그에서 투수가 타석에 서지 않고 대신 그 자리에 다른 타자가 타격을 하는

    지명타자 제도의 시작이었습니다.

     

    □ 지명타자 장단점

    지명타자 제도는 장점이 있지만 당연히 단점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제도를 싫어하는 사람도 존재합니다.

    선임이 되면서 체력이 약해진 타자들의 수명을 연장하고 투수들의 부상 위험을 줄이고 타격전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하고 미묘한 야구를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게 단점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한국 프로야구에서 투수가 타석에 들어와 안타를 치는 장면이 가끔 보입니다.

    지명타자로 출전한 선수가 피치 못할 상황으로 수비를 들어가게 된다면

    투수가 타석에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겁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